[기계] 디와이파워[210540/NotRated] 기계용 유압실린더 수출 선전

디와이파워의 ’24년 영업이익’은 보수적인 가이던스(300억원)를 다시 한번 20% 이상 웃돌 것으로 예상됩니다. 글로벌 건설 기계의 유압 실린더 아웃소싱이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1~2월 유압실린더 수출은 미국 수출 호조에 힘입어 YoY+19% 증가했습니다. 디와이파워의 ’24년 영업이익’은 보수적인 가이던스(300억원)를 다시 한번 20% 이상 웃돌 것으로 예상됩니다. 글로벌 건설 기계의 유압 실린더 아웃소싱이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1~2월 유압실린더 수출은 미국 수출 호조에 힘입어 YoY+19% 증가했습니다.

4Q23 리뷰: 국내 고객사의 단기 실적 부진에 연동 DY파워의 4Q23 실적은 매출액 981억원(YoY -12.1%), 영업이익 49억원(YoY -30.7%, OPM 5.0%)을 기록했다. 국내 매출이 주요 고객사(HD현대인프라코어 등) 4분기 매출 부진에 연동돼 291억원(YoY -30.9%)으로 부진했다. 전반적으로 지역별 전년 동기 실적 기저가 높았지만 미국(Terex 등) 매출은 177억원으로 YoY+28.9% 증가했다. 4Q23 리뷰: 국내 고객사의 단기 실적 부진에 연동 DY파워의 4Q23 실적은 매출액 981억원(YoY -12.1%), 영업이익 49억원(YoY -30.7%, OPM 5.0%)을 기록했다. 국내 매출이 주요 고객사(HD현대인프라코어 등) 4분기 매출 부진에 연동돼 291억원(YoY -30.9%)으로 부진했다. 전반적으로 지역별 전년 동기 실적 기저가 높았지만 미국(Terex 등) 매출은 177억원으로 YoY+28.9% 증가했다.

 

“올해도 영업이익 가이던스 20% 이상 상회 예상” 23년 실적은 당사 전망치와 부합하는 수준인 매출액 4,300억원, 영업이익 363억원으로 가이던스를 각각 1.2%, 21.0% 상회했다. 2024년 실적은 4,524억원/383억원으로 보수적인 가이던스(4,350억원/300억원)를 또 한 번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①제품 믹스의 개선(고객사 중대형 기계 생산↑), ②원재료의 안정화, ③인도 법인의 흑자 전환, ④중국 공장(순손익률 13%+) 활용 고정비 커버 효과 등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올해도 영업이익 가이던스 20% 이상 상회 예상” 23년 실적은 당사 전망치와 부합하는 수준인 매출액 4,300억원, 영업이익 363억원으로 가이던스를 각각 1.2%, 21.0% 상회했다. 2024년 실적은 4,524억원/383억원으로 보수적인 가이던스(4,350억원/300억원)를 또 한 번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①제품 믹스의 개선(고객사 중대형 기계 생산↑), ②원재료의 안정화, ③인도 법인의 흑자 전환, ④중국 공장(순손익률 13%+) 활용 고정비 커버 효과 등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유압실린더 아웃소싱 확대 추세에 있는 건설기계 업체들은 생산 효율화를 위해 유압실린더를 자체 생산이 아닌 아웃소싱하는 비중을 높이는 추세다. 실린더는 불량으로 인한 대당 손실액이 크고 제품별 규격이 상이하여 교체가 어려움(테스트기간 5~10년). 이에 경쟁사도 Kayaba(일), Hengli(중) 정도로 제한적이다. 동사는 현재 HD현 잉꼬의 물량을 전량 생산하고 있어 HD현건기/히타치/캐터필러(유럽·중국) 등 고객 사내 점유율도 늘리고 있다. 유압실린더 아웃소싱 확대 추세에 있는 건설기계 업체들은 생산 효율화를 위해 유압실린더를 자체 생산이 아닌 아웃소싱하는 비중을 높이는 추세다. 실린더는 불량으로 인한 대당 손실액이 크고 제품별 규격이 상이하여 교체가 어려움(테스트기간 5~10년). 이에 경쟁사도 Kayaba(일), Hengli(중) 정도로 제한적이다. 동사는 현재 HD현 잉꼬의 물량을 전량 생산하고 있어 HD현건기/히타치/캐터필러(유럽·중국) 등 고객 사내 점유율도 늘리고 있다.

 

유압실린더 1~2월 수출 YoY+19%, 국내 유압실린더 1~2월 수출액은 $68.2M로 YoY+18.7% 증가했다. 특히 미국 수출액은 $38.3M(YoY+39.3%)으로 테렉스 등 고소작업차용 유압실린더(경쟁사 없음) 수요가 여전히 강할 것으로 판단된다. 테렉스의 고소작업차 백로그는 26.4억달러로 역대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굴착기 등으로의 매출처 다변화를 기대한다. 유압실린더 1~2월 수출 YoY+19%, 국내 유압실린더 1~2월 수출액은 $68.2M로 YoY+18.7% 증가했다. 특히 미국 수출액은 $38.3M(YoY+39.3%)으로 테렉스 등 고소작업차용 유압실린더(경쟁사 없음) 수요가 여전히 강할 것으로 판단된다. 테렉스의 고소작업차 백로그는 26.4억달러로 역대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굴착기 등으로의 매출처 다변화를 기대한다.

 

2024년 예상 P/E 5.0배 수준의 당사 전망치를 반영한 동사의 ’24년 예상 P/E’는 5.0배로 국내 건설기계업체 컨센서스 평균 약 6.5배 대비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2024년 예상 P/E 5.0배 수준의 당사 전망치를 반영한 동사의 ’24년 예상 P/E’는 5.0배로 국내 건설기계업체 컨센서스 평균 약 6.5배 대비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한화투자증권 #라이프플러스 #투자전략 #기업분석 #투자스토리 #불꽃 #증권 #종목 #리포트#리서치자료#관심종목#배당주#가치주#종목#분석#성장주#투자\”2024\”한화투자증권\라이프플러스\”투자전략\기업분석\”투자스토리\불꽃놀이\”증권/종목/리포트”리서치자료”관심종목/배당주/가치주/종목/분석”성장주/투자|2024 #

Scroll to Top